본문 바로가기

Python

파이썬 경로 확인, 텍스트 파일 읽고 쓰기 1. 경로 확인 # 현재 기본 경로(홈 디렉토리) 확인 from pathlib import Path print(Path.home()) C:\Users\User => 현재 컴퓨터의 기본 경로이다. # 현재 작업 디렉토리 확인 from pathlib import Path print(Path.cwd()) C:\Users\User\Python =>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이다. 2. 파일 읽고 쓰기 2.1 파일 쓰기 w모드로 파일을 열어 wirte() 메소드로 파일에 입력 같은 이름의 파일이 이미 있다면, 제거하고 다시 생성 # 파일 열기 f = open('First.txt', 'w') # 파일 쓰기 f.write('Hello\n') # 파일 닫기 f.close() => 확장자를 꼭 붙여줘야 함. => 파일을 열.. 더보기
파이썬 정규표현식 정규표현식 Python에서만 사용한 기능이 아니라, 문자열을 다룰 수 있는 곳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됨 - 정규식 사용 예시 1. 전화번호 뒷자리 마스킹 p1 = '아이유: 010-1234-5678 송하예: 010-9876-5432' # 전화번호 뒷자리 xxxx로 변환 import re re.sub('(\d{3}[-]\d{4})([-]\d{4})', '\g-XXXX', p1) '아이유: 010-1234-XXXX 송하예: 010-9876-XXXX' => re.sub(바꿀 문자열(정규 표현식), 바꿀 문자열, 문자열(변수) 이름) => \d{3} : 숫자 3자리 -- digit{3} => \g : 첫 소괄호 -- (\d{3}[-]\d{4}) => 숫자 3자리-4자리-4자리 문자열을 갖고 있는 변수 p1에서 뒷자.. 더보기
파이썬 함수 함수(Function) 값을 입력 받아 어떠한 처리를 하고 결과를 반환함 입력 : 매개변수, 생략가능 처리 : 원하는 처리를 위한 코드 출력 : 처리 결과, 생략 가능 - 기본 예시 def hello(): print('Hello Python') hello() Hello Python => def 이후 함수명( hello() )를 만든 후, 처리할 내용( print('Hello Python' )을 입력함 => hello()를 실행 시키면, Hello Python을 출력하라는 함수 - 기본값이 있는 경우 def fruit(name='사과') : print(f'{name}는 맛있다') fruit() fruit('바나나') 사과는 맛있다 바나나는 맛있다 => 기본값을 사과로 지정하여 매개변수에 아무것도 넣지 않을.. 더보기
파이썬 제어문(3) - while 문 제어문(Control Statements) 조건과 반복 처리를 통해 코드의 실행 흐름을 제어할 수 있음 "들여쓰기"로 구역을 나눔 3. while 문 조건문이 True인 동안 while문 안의 문장 반복해서 실행 li1 = ['컴퓨터', '노트북', '마우스', '충전기'] i = 0 while i i = 0부터 시작하여 3까지 실행함. i가 4가 되면 조건이 False가 되기 때문에 while문이 종료됨. => li1[0] 출력, li1[1] 출력, li1[2] 출력, li1[3] 출력 # while문을 이용하여 100까지 짝수의 합 total, i = 0, 0 while True: i = i + 1 if i > 1.. 더보기
파이썬 제어문(2) - for 문 제어문(Control Statements) 조건과 반복 처리를 통해 코드의 실행 흐름을 제어할 수 있음 "들여쓰기"로 구역을 나눔 2. for 문** 첫번째 값부터 마지막 값까지 실행 - 문자열 s1 = 'good' for i in s1 : print(i) g o o d => good 문자열을 앞에서부터 한 글자씩 출력 => 문자열을 리스트로 변경하면 ['g','o','o','d']임. 즉, 요소하나씩 출력한다고 이해하면 쉬움. - 리스트 li1 = list[range(5)] for i in li1 : print(i) 0 1 2 3 4 => 0에서 4까지 요소를 갖는 리스트 li1을 생성 후, for문을 사용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씩 출력함 - for문 if문 함께 사용 # 0부터 10까지 숫자 중 짝.. 더보기
파이썬 제어문(1) - if 문 제어문(Control Statements) 조건과 반복 처리를 통해 코드의 실행 흐름을 제어할 수 있음 "들여쓰기"로 구역을 나눔 1. if 문 if 문 If ~ else 문 if ~ elif ~ else 문 1.1 if 문 - 조건이 참인 경우만 math = 95 # 수학점수가 80점 보다 높으면 합격이다 if math > 80 : print('합격') 합격 => math는 95이고, 조건을 80보다 높으면 합격을 출력하게 함 => math > 80이 맞을 경우, True이다. li1 = list(range(11)) if li1 : print(li1)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 => li1 리스트에 요소가 있으면 li1을 출력 1.2 if ~ else 문 - 조건이 .. 더보기
파이썬 기초(3-4) - 딕셔너리(Dictionary) Python은 여러 값을 갖는 컨테이너 자료형 제공 리스트(List) : 대괄호 사용 ex) [0,1,2,3] 튜플(Tuple) : 소괄호 사용 ex) (0,1,2,3) 집합(Set) : 중괄호 사용 ex) {0,1,2,3} 딕셔너리(Dictionary) : {key : value} 형식으로 사용 ex) {'이름':'홍길동', '지역':'Seoul'} 3.4 딕셔너리(Dictionary) 딕셔너리는 중괄호 { }를 사용함 {Key1:Value1, Key2:Value2, Key3:Value3, Key4:Value4}의 형식을 갖음 순서가 의미 없고, Key를 통해 Value 확인함 # 딕셔너리 생성 dic1 = {'일':'TV','이':'컴퓨터', '삼':'냉장고', '사':'청소기'} print(dic).. 더보기
파이썬 기초(3-3) - 집합(Set) Python은 여러 값을 갖는 컨테이너 자료형 제공 리스트(List) : 대괄호 사용 ex) [0,1,2,3] 튜플(Tuple) : 소괄호 사용 ex) (0,1,2,3) 집합(Set) : 중괄호 사용 ex) {0,1,2,3} 딕셔너리(Dictionary) : {key : value} 형식으로 사용 ex) {'이름':'홍길동', '지역':'Seoul'} 3.3 집합(Set) 중괄호({})안에 값을 입력하며, 값을 원소라고 함 집합 연산(교집합, 합집합, 차집합, 대칭 차집합) 사용 가능 중복x (중복된 원소는 하나만 제외하고 모두 없어짐) 원소의 순서는 의미가 없어 인덱싱 불가 # 집합 생성 se1 = {1, 2, 3, 4, 5, 'a', 'b', 'c', 'd', 'e'} se1 {1, 2, 3, 4, ..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