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 제어문(1) - if 문
제어문(Control Statements) 조건과 반복 처리를 통해 코드의 실행 흐름을 제어할 수 있음 "들여쓰기"로 구역을 나눔 1. if 문 if 문 If ~ else 문 if ~ elif ~ else 문 1.1 if 문 - 조건이 참인 경우만 math = 95 # 수학점수가 80점 보다 높으면 합격이다 if math > 80 : print('합격') 합격 => math는 95이고, 조건을 80보다 높으면 합격을 출력하게 함 => math > 80이 맞을 경우, True이다. li1 = list(range(11)) if li1 : print(li1)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 => li1 리스트에 요소가 있으면 li1을 출력 1.2 if ~ else 문 - 조건이 ..
더보기
파이썬 기초(3-4) - 딕셔너리(Dictionary)
Python은 여러 값을 갖는 컨테이너 자료형 제공 리스트(List) : 대괄호 사용 ex) [0,1,2,3] 튜플(Tuple) : 소괄호 사용 ex) (0,1,2,3) 집합(Set) : 중괄호 사용 ex) {0,1,2,3} 딕셔너리(Dictionary) : {key : value} 형식으로 사용 ex) {'이름':'홍길동', '지역':'Seoul'} 3.4 딕셔너리(Dictionary) 딕셔너리는 중괄호 { }를 사용함 {Key1:Value1, Key2:Value2, Key3:Value3, Key4:Value4}의 형식을 갖음 순서가 의미 없고, Key를 통해 Value 확인함 # 딕셔너리 생성 dic1 = {'일':'TV','이':'컴퓨터', '삼':'냉장고', '사':'청소기'} print(dic)..
더보기
파이썬 기초(3-3) - 집합(Set)
Python은 여러 값을 갖는 컨테이너 자료형 제공 리스트(List) : 대괄호 사용 ex) [0,1,2,3] 튜플(Tuple) : 소괄호 사용 ex) (0,1,2,3) 집합(Set) : 중괄호 사용 ex) {0,1,2,3} 딕셔너리(Dictionary) : {key : value} 형식으로 사용 ex) {'이름':'홍길동', '지역':'Seoul'} 3.3 집합(Set) 중괄호({})안에 값을 입력하며, 값을 원소라고 함 집합 연산(교집합, 합집합, 차집합, 대칭 차집합) 사용 가능 중복x (중복된 원소는 하나만 제외하고 모두 없어짐) 원소의 순서는 의미가 없어 인덱싱 불가 # 집합 생성 se1 = {1, 2, 3, 4, 5, 'a', 'b', 'c', 'd', 'e'} se1 {1, 2, 3, 4, ..
더보기